티스토리 뷰

목차



    도시전경

     

     

     

    윤석열 대통령이 대한민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해제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단 6시간이었습니다. 2023년 12월 3일 밤부터 4일 새벽까지 숨 가쁘게 이어진 이 사건은 계엄 선포, 국회의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계엄 해제 발표로 이어지며 현대 정치사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아래에서는 사건의 흐름을 타임라인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사건의 배경: 비상계엄 선포 (12월 3일)

    2023년 12월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대국민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선포를 발표했습니다.

    • 오후 10시 25분: 대통령 담화 시작.
    • 오후 10시 28분: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는 발언과 함께 계엄이 발효되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의 이유로 "헌정 질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위협하는 세력에 대한 대응"을 들었습니다. 이는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45년 만의 비상계엄 선포로 기록됩니다.


    2. 계엄 체계 발동 및 긴장 고조 (12월 3일 밤)

    계엄 선포 직후, 군과 정부 기관은 즉각 움직였습니다.

    • 오후 10시 43분: 국방부 장관은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 오후 11시 25분: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됐고,'계엄사령부 포고령 제1호'를 통해 전국적인 정치활동 금지를 선언했습니다.
    • 오후 11시 27분: 계엄군 출동 명령이 내려졌으며, 국회 출입문 폐쇄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계엄군은 국회의 진입을 시도했고, 이에 맞서 국회의원들과 보좌진, 국회 직원들이 출입을 저지하며 혼란이 이어졌습니다.


    3. 국회에서의 저항과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12월 4일 새벽)

    계엄군의 국회 진입이 시도되는 동안, 국회는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기 위해 신속히 움직였습니다.

    • 12월 4일 0시 7분: 계엄군이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했습니다.
    • 0시 45분: 계엄군이 국회 로텐더홀에 도달했지만, 본회의장은 저지되어 진입하지 못했습니다.
    • 0시 48분: 국회 본회의가 개의되었고, 1시 1분에 재석 의원 190명 전원 찬성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되었습니다.

    4. 계엄군 철수와 계엄 해제 발표 (12월 4일 새벽)

    결의안 가결 후에도 계엄 해제는 곧바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상황은 빠르게 정리되었습니다.

    • 1시 11분: 계엄군이 국회에서 철수를 시작했습니다.
    • 4시 27분: 윤석열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국회의 요구를 수용하여 계엄 해제를 선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4시 30분: 국무회의에서 계엄 해제안이 의결되며, 비상계엄이 완전히 종료되었습니다.

    5. 사건의 여파

    이 사건은 계엄 선포와 해제가 모두 6시간 만에 이루어진 초유의 사례로 기록됩니다. 비상계엄이 선포되면서 금융시장도 출렁였으며, 국내외적으로도 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 금융시장 혼란: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가상화폐 시장이 폭락했습니다.
    • 국내 정치 파장: 계엄의 위법성 여부와 정치적 책임을 두고 여야 간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 국제적 반응: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는 한국의 계엄 사태를 우려하며 평화적인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6. 타임라인 요약

    시간주요 사건 및 진행 사항

    12월 3일 22:25 윤석열 대통령, 긴급 대국민담화로 비상계엄 선포
    12월 3일 23:25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계엄사령관 임명 및 포고령 제1호 발표
    12월 4일 0:07 계엄군, 국회 본청 진입 시도
    12월 4일 0:48 국회 본회의 개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논의 시작
    12월 4일 1:01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12월 4일 1:11 계엄군 철수 시작
    12월 4일 4:27 윤 대통령, 대국민 담화를 통해 계엄 해제 선언
    12월 4일 4:30 국무회의에서 계엄 해제안 의결

    7. 결론

    6시간 만에 전개된 대한민국의 계엄 사태는 정치, 경제, 국제 관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계엄 선포라는 극단적인 조치는 많은 논란을 남겼지만, 국회의 신속한 대응과 국민적 관심으로 빠르게 해제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사건은 민주주의 체제를 지키는 데 있어 국회와 국민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보여준 사례로 남을 것입니다.